1. 해외 거래를 시작하게 되었을때, 관세 비용에 대해 분석하려고 하면 환율과 관세환급을 확인 해야 한다
2. 고품질, 고사양 자재를 소싱할 경우 일부는 승인업체, 나머지는 선호업체엑 받는다
3. 업체가 잘해서 계약을 추가 진행하는 경우는 단일공급원일 경우 이다
4. 국제소싱과 국내소싱을 비교할 때 사용하는 원가는 양률비용 포함 원가(도착 원가/이용) 이다
5. 해외 해당 국가의 화폐로 계약을 했고 환율에 따라 손해가 발생했다. 환율이 달러에 약점으로 작용할 때 달로로 계약 해야 한다.
6. 미국법인의 구매가가 유럽공급업체와 다수의 제품을 달로로 거래하는데, 환율이 유럽 공급업체에게 불리해져 계약을 해지하자는 애기가 나오고 있다. 이럴 경우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체거래처를 미국 내로 소싱한다
7. 혼합구매란 본사(중앙)총괄, 사업장이 실행하는 것이다
8. 부품의 도착 비용=제품가+운송비+보엄료+통관비용
보다 자세한 제품 및 용역의 잠재 공급원을 분석한다_1-A-3(feat. CPSM1)을 알고 싶은은 아래를 클릭해 주세요.
반응형
'구매,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부조달 외부조달 개발을 위한 분석 수행_1-A-5(Feat. CPSM 1) (8) | 2024.02.11 |
---|---|
정보요청서, 제안요청서, 견적요청서에 대한 요건 처리방법_1-A-4(Feat. CPSM 1) (12) | 2024.02.11 |
이해당사자 요구를 평가하고 소싱 계획 핵심요약_1-A-1~2(feat. CPSM1) (7) | 2024.02.10 |
경제적 구매를 위한 가격조사 방법 For Buyer(6) (2) | 2024.02.04 |
구매 및 공급망 관리의 역사_5 (10) | 2024.01.29 |